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투자/주식공부

2024 미국 채권 금리 CPI 실업률이란? 개념 투자이유 간단정리

by 먼지아빠(31) 2024. 7. 31.
반응형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유명한 투자 격언이죠, 예일대 교수를 역임하신 제임스 토빈 선생님께서 하신 말씀인데요. 바구니를 떨어뜨리면 계란이 전부 깨져버려 못쓰게 되니까요. 헷지(Hedge)란 투자에 있어 리스크를 관리하고 잠재적 손실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전략입니다. 자산을 한곳에 집중시키지 않고, 여러 자산에 분산해 투자함으로써 리스크를 줄이는 전략을 의미하는데요. 그럼 시장하락을 헷지 할 수 있는 수단엔 어떤 게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채권에 대해 공부해 볼게요.
 

채권이란?

채권(Bond)이란, 정부나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입니다. 국채(Treasury bond)란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이며, 외에도 지방채, 특수채, 금융채 등 발행 주체에 따라 다양란 채권이 존재합니다.

 

 
정부나 기업에 돈을 빌려준다는 점에서 대부업 같은 느낌이 드네요

채권 상환 기간

상환기간이란 채권의 만기일까지의 기간으로, 이 기간 동안 투자자는 이자를 수령하고 만기일에 원금을 상환받습니다.

  • 단기채: 상환기간이 1년 이하인 채권입니다.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높고, 금리가 낮은 편입니다.
  • 중기채: 상환기간이 1년 초과 10년 이하인 채권입니다.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습니다.
  • 장기채: 상환기간이 10년 초과인 채권입니다. 금리가 높지만, 금리 변동에 따른 리스크가 큽니다
듀레이션(duration)이란 채권의 가격이 금리 변화에 얼마나 민감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만기가 길수록 듀레이션이 증가하므로, 장기채가 중단기채에 비해 금리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이죠.

 

금리, 채권, CPI와 실업

중앙은행은 경제를 안정화하기 위해 금리를 조정합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이자가 증가하니 소비와 투자가 자연스레 감소하게 되거든요. 채권이 수익률은 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데요, 금리가 상승하면 새로 발행되는 채권이 금리상승분을 반영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에 발행됐던 기존채권의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반대로 금리가 하락하면 기존 채권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데요. 채권이 헷징수단으로 활용되는 이유는 여기 있습니다. 

CPI 지수(소비자물가지수)란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인플레이션은 CPI가 상승할 때 발생하며, 중앙은행에서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리의 상승은 대이자가 증가하고 소비가 감소해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거든요.
실업률은 경제의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또 다른 중요한 지표입니다. 실업률이 높다는 것은 경제가 최대 생산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중앙은행은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금리를 인하할 수 있습니다. 낮은 금리는 기업이 자금을 빌려 사업을 확장하고, 이를 통해 고용을 창출하도록 유도합니다. 반면, 실업률이 낮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질 경우,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하여 경제가 과열되지 않도록 합니다.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면 차입 비용 증가로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어 경제 성장이 둔화될 수 있습니다. 이는 채권 수익률의 상승을 초래하며, 채권 가격은 하락합니다. 동시에,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합니다. 그러나 금리가 너무 높아지면 경제 활동이 위축되고, 이는 실업률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가 낮아지면 소비와 투자가 활발해져 경제 성장이 촉진되고 실업률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낮은 금리는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으며, 이는 CPI 상승으로 나타납니다. 중앙은행은 다시 금리인상으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 할 테고요.

 

포트폴리오 (24.07.31)

 

연금저축계좌에서는 S&P500 추종 ETF를 전부 매도했고, 직접투자 계좌에서는 VOO, QQQ를 전부 매도했습니다. 주식 모으기는 하루에 $15로 세팅해 뒀던 걸 $4로 줄여뒀습니다. TLT랑 알채권을 7:3 정도로 나눠서 매수했고.. 앞으로 더 매수해 나갈 생각입니다. 

 

ACE미국 30년 국채엔화노출액티브(H) 매수 이유는 이전 포스팅에 좀 더 자세히 작성해 뒀습니다. 높은 비중은 아니지만 기간을 두고 분할매수해 나갈 생각이에요. 

 

 

2024년 엔화가 오르는 이유 엔화 금리 전망 간단정리

여름휴가를 일본으로 다녀왔습니다:) 진짜 엄청 덥더라고요. 여행 중엔 트라비 월렛이란 어플로 그때그때 엔화를 충전해서 사용했는데.. 한화 1000원당 850원 수준이었던 엔화가 여행 마지막날엔

ohyo.tistory.com

 

금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PHYS)도 있더라고요.. 정찰 삼아 10주만 매수해 뒀습니다. 이 녀석도 공부해 봐야겠어요. 


지금껏 제 투자방법은 '무지성 적립식 매수'에 가까웠습니다. '경제'라는 단어가 주는 위압감에 공부해 볼 엄두가 나지 않았고, 쉬운 투자방법으로 돈 벌고 싶다는 안일한 마음이 있었는데요. 

나이가 드는 건지.. 미래에 대한 걱정이 커져가면서 단단히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