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규모의 계약 체결, 임상 3상 성공으로 신약 상용화 등.. 뉴스에 따라 주가가 출렁이는 걸 본 적 있으신가요? 주가를 움직이는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만 뉴스만큼 직관적인 것도 드물죠. 주가가 펀더멘털을 따라가지 않는 건 쉽게 찾을 수 있지만 별 것도 아닌 것 같아 보이는 악재에 쭉쭉 내리꽂는 경우는 자주 보이니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사주의 개념과 매입 / 소각에 대해 공부해 볼게요.
호재와 악재
호재란 주가 상승을 유도하는 긍정적인 소식이나 사건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악재는 주가 하락을 초래하는 소식이나 사건이고요.
자사주 매입 및 소각=> 호재
자사주란 기업 자사의 주식을 의미합니다. 최초에 기업은 투자금 유치를 위해 기업을 상장시키며 주식이 발행되는데, 그중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주식을 말합니다.
자사주 매입이란 기업이 시장에서 자사주를 다시 사들이는 행위를 말합니다. 자사주 소각이란 매입한 자사주를 시장에서 제거하는 행위를 말하고요. 기껏 상장시켜 둔 주식을 다시 사들이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자사주 매입은 주가 부양 효과를 지닙니다. 매입한 자사주를 소각하게 되면, 시장에서 유통되는 주식의 수가 줄어들게 되니 남아있는 주식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됩니다. 유통주식수가 감소하면 주당 순이익(EPS)은 높아지고요.
주가상승은 기존 주주들에겐 분명 좋은 신호입니다만, 굳이 굳이 자금을 자사주 매입에 투자하는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기업에 잉여자금이 돌 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궁무진할 테니까요. 다만 그 무궁무진한 방법 중 기업이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선택했다는 건 기업을 좋게 봐준 주주들에게 보상하는, 이른바 주주 환원 정책의 일환입니다. 기업 경영진이 그만큼 자사를 좋게 보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고요. 아래 간략히 정리해 둘게요.
장점 | 단점 |
주식 수 감소 + 주가 부양 | 자금 소모 |
주주가치 제고(주주 환원) | |
경영진의 신뢰 신호 | |
적대적 인수 방어 |
자사주 매입 절차
어떤 신호나 결정들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만 자사주 소각은 너무 반가운 소식입니다. 미국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에겐 배당이 일반적이고 일상적이지만, 한국 기업들 중에는 정말이지 주주 생각은 하나도 안 하는구나.. 싶은 기업들이 많기도 하고요. 잉여 자금이 넘쳐도 배당을 안 하는 기업도 많고, 무상감자나 유상증자처럼 기존 주주들에겐 악재로 다가올 수 있는 소식도 더러 들리니까요.
주식을 제대로 공부해 보기 전까지 투자에 있어 경영진의 됨됨이를 고려해 본 적은 없습니다. 사실 고려해 볼 생각을 못했다는 게 정답에 가까운데요. CEO에 대한 공부가 투자에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배우게 됐습니다. 건강한 기업가 혹은 리더십을 가진 기업에 투자하자는 생각도 더러 갖게 됐고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소소한 투자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코스피 코스닥 개념 산출방법 간단정리 (3) | 2024.08.04 |
---|---|
퀀트투자란? 개념 목적 장단점 간단정리 (0) | 2024.08.01 |
2024 미국 채권 금리 CPI 실업률이란? 개념 투자이유 간단정리 (3) | 2024.07.31 |
2024 엔화가 오르는 이유 엔화 금리 전망 간단정리 (0) | 2024.07.30 |
경제적 해자 정의 개념 판단방법 간단정리 (0) | 202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