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투자/주식공부

베이비컷? 빅컷? 미국 금리인하 확률 보는곳 의미 핵심정리

by 먼지아빠(31) 2024. 9. 15.
반응형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가 뜨겁습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5.5%, 얼마만큼의 기간 동안 얼마만큼의 금리인하를 단행할지, 매일매일 나오는 지표로 불확실성이 커져가는 요즘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금리인하에 관해 공부해 볼게요. 

코로나와 금리인하

과거 코로나 팬데믹때 금리인하가 어떤 식으로 이뤄졌는지 먼저 살펴볼게요.

코로나시즌 미국 기준금리

 

코로나바이러스는 2019년 12월 처음 확인되었고, 2020년 1월에 국제적 비상사태가 선포되었습니다. 2020년 1월 1.75% 수준이던 기준금리가 2020년 3월 4일 첫 번째 빅컷으로 1.25%, 이후 2020년 3월 16일 두 번째 빅컷으로 0.25%까지 낮아졌고요. 약 2년간 유지됩니다. 덕분에 S&P500이 전고점을 회복하기까지 6개월도 채 안걸렸었죠. 

 

안정권인 물가상승

 

물가상승률이 잡혀가는 모습이죠. 지난 9월 11일 발표된 소비자물가지수가 2% 중반대로 예측치에 부합함에 따라 시장은 다른 지표들을 주목하는 모습입니다. 이를테면 고용이나 제조업 관련 지수들이요.

금리인하: 베이비컷과 빅컷

베이비컷은 금리의 소폭(25bp, 0.25%)인하를, 빅컷은 금리의 대폭(50bp, 0.5% 이상) 인하를 의미합니다. 통상 경제의 건강상태가 어떤지에 따라 금리인하 폭이 결정되는데요. 당장 경기침체냐 아니냐, 같은 지표에 대해 해석하는 관점이 너무 다르다 보니 금리인하가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 궁금한데요.

 

일반 투자자들은 어떤 정보들을 활용할 수 있을까요?

 

CME Fedwatch: 금리인하 확률 지표

시카고 CME Fedwatch(페드워치)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확률로써 예측하는 지표입니다. 

 

CME FedWatch Tool - CME Group

CME FedWatch 도구를 이용하여 연방기금 목표금리에 따른 차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인상 시기를 가늠해 보세요. 도구 보기

www.cmegroup.com

그래프를 보면 두 가지 확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현재 기준금리가 550bp인 점을 생각할 때 각각 확률을 보면

  • 베이비컷 - 475~500bp (4.75%~5.00%): 50%
  • 빅컷 - 500~525bp (5.00%~5.25%): 50%

50% 확률로 0.25%p 인하(베이비컷)가 발생할 수 있고, 50% 확률로 0.50% p 인하(빅컷)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금리인하 확률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간략히 보여주는데요. 한 달 전만 해도 30% 수준이던 빅컷 확률이 50%까지 올라왔네요.


 

요즘은 유튜브가 잘 돼있다보니, 미국 경기 체감을 위해 물가 관련 영상을 자주 찾아보곤 하는데요. 샐러드에 커피 한잔 먹으면 5만원이 우습더라고요.  

 

소비가 견조하고 물가상승이 안정적이라고 하지만, 양극화로 저소득층은 소비가 줄어가는 반면, 고소득층의 소비가 높아지는 건 아닌지, 침체가 진행 중인 건 아닌지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