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부동산

2024 대한민국 부동산 시가총액 상승률 간단정리

by 먼지아빠(31) 2024. 7. 28.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한민국 부동산 시가총액에 대해 알아볼게요.

시가총액

시가총액은 통상 기업의 총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주식가격에 발행 주식수를 곱해 산정하며, 시장참여자들은 시가총액으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합니다. 현시점 삼성전자 시총이 480억이네요.
 

출처: 공간의 가치, 통계청 (2022)

 
2022년 한국 전체 부동산 시가총액은 1경 7780조, 2024년 기준 시가총액은 1경 5680조원입니다. 2년간 약 2000조 원 감소했네요. 서울 요 자그마한 땅덩이가 무려 5235조 원..


도쿄는 약 1경 5000조 원, 워싱턴은 약 8000조 원, 파리는 약 1경 2000조 원입니다. 경이나 조 단위는 얼마나 큰지 잘 가늠이 되지 않네요. 코스피 시총은 약 2304조 원으로, 한국 기업의 시가총액을 전부 합친 것보다 부동산의 가치가 2배 이상 높네요. 참고로 나스닥 시가총액의 합은 2경 8160조 원입니다. 

 서울과 부동산

 

수도권 아파트 가격의, 25년간 연평균 상승률이 6.7%라고 합니다. S&P500의 연평균 상승률이 10.6%인 것에 비하면, 생각만큼 상승률이 높지는 않네? 싶은데요.

 

특히 강남 3구와 용산구의 아파트 중위가격이 3년간 60~80%나 치솟은 반면 양천, 구로는 3년간 약 10% 상승했습니다. 지역에 따른 편차가 극명해 연평균 상승률이 낮게 나오는, 평균의 함정이네요.

 

참고: 주택가격지수

주택가격지수(House Price Index)는 주택가격변동 추세를 파악하는 지수로, 주택 매매가격, 거래량, 주택유형, 가격 변화 등 주택거래 전반에 걸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정됩니다. 

 

부동산도 주식처럼, 코스피나 코스닥 지수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 있는데요. 한국 부동산원과 KB부동산에서는 다양한 지수를 제공하니 참고하세요.

KB부동산 제공: 부동산 관련 지수 확인하러 가기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